안녕하세요! 공부하는 직장인 동키입니다 :)
제 2편 7장에서는 기업이 영업활동을 영위하며 발생할 수 있는 위험들에 대해서 공부하였습니다.
제 2편 신용위험 요소 평가 - 제 8장 기술위험평가
제 1절 기술위험의 개요
- 기업이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경쟁기업보다 우위에 있어야 하며 타 기업대비 기술력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시장 점유율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음
- 신기술 개발 및 연구와 기술 혁신을 이루지 못하여 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, 시장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여 수익성이 악화되거나 도산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
- 기술 연구 개발을 위한 인프라 확보 필요
- 경영진 및 기술최고책임자(CTO)의 기술 지식 전문성
- 충분한 연구 인력 여부
- 연구개발비 투입 능력
- 연구 실적에 대한 상품화 정도
제 2절 기술위험평가의 중요성
-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력은 기업의 미래 수익성을 예측하는 데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임
- 첨단 산업 내 기업의 겨우 기술력 및 기술위험평가는 매우 중요함
- 경영진은 우수한 기술력 및 연구 인력을 확보함으로써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안정적인 수익을 달성해야함
- 기술력은 직접적으로 계량화하여 평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간접적인 방법으로 측정
- 기업 신용 분석 시, 대상 기업의 기술력 및 연구 개발 환경만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경쟁기업 또는 업계 내 선두기업의 기술력과 연구 개발 환경과 비교하여 평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
제 3절 기술력 평가방법
- 기업의 기술력 평가는 연구시설, 연구인력, 연구개발비, 기술개발 실적, 상품화 실적으로 가능함
- 연구시설
- 연구소는 기술 연구를 위한 필수 인프라로서 연구소의 시설 수준에 따라서 기술력 평가가 가능함
- 기업 내 기술 연구소의 조직 내 위상 또한 기술력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임
- 연구인력
- 연구시설과 더불어 실제로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인력으로 평가 가능
- 연구인력의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 모두 고려하여 평가해야함
- 박사, 석사, 학사의 인원으로 평가가 가능하며 연구인력의 포트폴리오 밑 연구실적은 평가 지표로 활용 가능
- 연구개발비
- 기술 연구를 위한 연구개발비 규모도 기술력 평가의 요소
- 단순히 많은 연구개발비를 투입한다고 좋은 연구실적이 나오는 것은 아니지만 기업 신용 평가의 관점에서 투입되는 연구개발비가 많을 수록 성과도 클 것으로 간주함
- 기업의 연구개발비 연도별 지출 추세와 기업 규모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기술력 평가
- 기술개발 실적
- 연구개발에 성공한 기술은 대부분 기술 특허로 등록하기 때문에 특허권의 종류와 등록 수를 기준으로 평가함
- 사업보고서 내 "연구개발활동"에서 기업의 기술개발 실적을 확인 가능함
- 사업보고서를 작성하지 않는 기업의 경우, 서면 및 인터뷰를 통해 직접 회사로부터 기술개발 실적 증빙을 받아서 평가해야함
- 상품화 실적
- 기술개발 이후 상품화를 통한 매출 및 이익을 달성함으로써 궁극적인 기업 존재의 의미를 얻게 됨
- 상품화 실적 또한 사업보고서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사업보고서를 내지 않는 기업의 경우 따로 연락하여 내용을 증빙받아 평가해야 함
- 상품화 실적은 주기적이고 지속적일수록 신용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봄
- 또한 단순 상품화 실적 건수로 평가하는 것이 아닌 상품별 매출액 기여도를 바탕으로 평가해야함
'국내자격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용위험분석사(CRA) 정리 노트 - 기업신용위험분석 제 2편 10장-1 (0) | 2023.03.21 |
---|---|
신용위험분석사(CRA) 정리 노트 - 기업신용위험분석 제 2편 9장 (0) | 2023.03.20 |
신용위험분석사(CRA) 정리 노트 - 기업신용위험분석 제 2편 7장 (0) | 2023.03.16 |
신용위험분석사(CRA) 정리 노트 - 기업신용위험분석 제 2편 6장 (0) | 2023.03.15 |
신용위험분석사(CRA) 정리 노트 - 기업신용위험분석 제 2편 5장 (0) | 2023.03.14 |
댓글